US 미국 법무부, 캄보디아 ‘프린스 그룹’서 140억달러 비트코인 압수…BTC 보유액 사상 최대치 경신
페이지 정보
본문
**미국 법무부(DOJ)**가 캄보디아 범죄조직 **‘프린스 그룹(Prince Group)’**의 수장 **천 즈(Chen Zhi)**로부터 약 140억달러(한화 약 19조원) 규모의 **비트코인(BTC)**을 압수했다. 이번 조치로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 규모는 **사상 최대치인 약 360억달러(약 47조원)**로 증가했다.
미국 법무부, 천 즈 기소 및 비트코인 몰수 소송 제기
미국 법무부 산하 **국가안보국(National Security Division)**과 뉴욕 동부연방검찰청은 14일(현지시간) 천 즈를 디지털자산 투자사기와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다. 천즈는 중국 출신으로 현재 캄보디아 국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제 디지털 자산 네트워크를 악용해 수십억달러 규모의 불법 자금을 조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온라인 투자사기 외에도 불법 도박, 갈취, 미성년자 대상 음란물 협박, 자금세탁, 인신매매 및 강제노동 등 다양한 범죄를 주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법무부는 천 즈가 보유한 **12만7,271 BTC(약 140억달러)**를 몰수했으며, 이는 DOJ 역사상 최대 규모의 비트코인 압수 사례로 기록됐다.
미국 정부, 전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국 등극
이전까지 미국 정부는 약 **19만7,354 BTC(약 220억달러)**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총 32만5,000 BTC 이상, 즉 **전 세계 비트코인 유통량의 약 1.5%**를 점유하게 됐다. 미국이 이처럼 대규모 BTC를 확보하게 되면서,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국이라는 타이틀을 사실상 굳혔다. 이는 마운트곡스(Mt.Gox) 해킹 사건, 실크로드(Silk Road) 폐쇄, 다크웹 단속 등에서 몰수된 자산을 포함한 결과로 분석된다.
“취약 지갑서 나온 비트코인”…정부 해킹 논란 확산
이번 몰수된 BTC 중 일부가 과거 **‘개인 키 취약성(Weak Private Keys)’**이 보고된 지갑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비트코인 아카이브(Bitcoin Archive)**는 “미국 정부가 압수한 일부 BTC는 보안 연구자들에 의해 난수 생성 알고리즘이 약한 취약 지갑 주소와 연관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이에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법적 절차에 따른 몰수라면 합법이지만, 기술적 접근을 통해 키를 확보했다면 사실상 정부 차원의 해킹 행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 사안은 비트코인의 기본 철학인 프라이버시 보호와 검열 저항성에 대한 논의로 번지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초창기에는 무작위성이 충분하지 않아 예측 가능한 키가 생성된 사례가 존재했다”며 “이번에 압수된 일부 코인은 이러한 초기 취약 주소군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 공조 강화 및 제재 확대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과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CEN)**는 영국 외교·개발부(FCDO)와 공조하여 천 즈가 이끄는 프린스 그룹과 관련된 146개 개인 및 단체를 제재 명단에 추가했다.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 재무부 장관은 성명에서 “국경을 초월한 금융사기가 미국 국민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국제 공조를 통해 해외 범죄조직의 자금세탁 경로를 차단하고, 미국인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미와 향후 전망
이번 사건은 단순한 몰수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미국 정부의 암호화폐 자산 통제력 강화와 글로벌 자금세탁 방지 체계 확대를 상징하며, 향후 비트코인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부 보유 BTC의 시장 유통 영향, 취약 지갑 추적 방식의 합법성, 국제 공조를 통한 불법 자산 회수 모델 등이 향후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