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게임 프로토콜(OGP), 커뮤니티 중심의 웹3 게임 혁신…누구나 직접 게임코인 발행 가능
페이지 정보
본문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새로운 웹3 게임 생태계
소셜 게임 **‘팜빌(FarmVille)’**로 유명한 저스틴 왈드론(Justin Waldron), 전 징가(Zynga) 공동 창업자가 웹3 산업의 새로운 게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오픈게임 프로토콜(Open Game Protocol, OGP)’**을 10월 14일(현지시간) 공식 공개했다. OGP는 단순한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아닌, 토큰 커뮤니티가 직접 자신들의 게임코인(GameCoin)을 발행하고 운영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누구나 기존 커뮤니티 토큰을 활용해 게임을 만들고, 그 안에서 플레이·보상·거래가 연결된 자급형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기존 GameFi 실패 원인, ‘폐쇄적 구조와 인센티브 불균형’
왈드론은 현재의 웹3 게임 시장 침체를 “산업 내부의 오만함”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기존 게임 개발사들이 수익 구조만을 복제한 채 NFT나 토큰을 붙이는 방식은 게이머의 실질적 욕구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유저들은 개발사 전용 토큰보다 이미 대중적으로 알려진 PEPE나 TRUMP 같은 토큰과 연결된 게임을 더 원한다”며, 커뮤니티의 네트워크 효과와 집단 참여가 새로운 웹3 성공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임코인(GameCoin)의 핵심 개념
OGP에서 만들어지는 **게임코인(GameCoin)**은 커뮤니티 토큰 기반으로 발행되는 새로운 형태의 거래 가능한 디지털 자산이다. 이는 단순한 게임 머니가 아닌, 원본 토큰의 보상 분배 구조를 결정하는 거버넌스 성격의 토큰이다. 예를 들어, $FARTCOIN 커뮤니티는 $GFARTCOIN, $WIF 커뮤니티는 $GWIF 형태의 게임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게임 참여자, 개발자, 투자자가 함께 생태계에 기여하고 플랫폼의 성장에 따라 보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갑에 ‘플레이 버튼(Play)’ 추가…즉시 게임 실행
OGP는 사용자가 복잡한 설치 과정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지갑 인터페이스나 Dexscreener와 같은 정보 플랫폼에 ‘플레이(Play)’ 버튼을 도입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토큰 옆의 ‘플레이’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토큰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게임 목록이 즉시 표시된다. 웹 기반 구조이기 때문에 추가 다운로드 없이 바로 실행이 가능하다.
커뮤니티가 만드는 게임코인 발행 절차
OGP의 생태계는 커뮤니티의 자발적 참여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스테이킹 참여: 커뮤니티 구성원은 자신이 보유한 토큰을 OGP 플랫폼에 일정 기간 예치한다.
목표 달성 후 발행: 설정된 목표치에 도달하면 해당 커뮤니티 전용 게임코인이 자동으로 발행된다.
보상 구조: 초기 참여자는 전체 발행량의 20%를 보상으로 받으며, 스테이킹 완료 후에는 원본 토큰이 모두 반환된다.
토큰 순환 메커니즘: 게임코인 거래에서 발생하는 일부 수수료는 원본 토큰을 시장에서 자동 매입하는 데 사용되어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한다.
OGP가 만드는 생태계 구조
OGP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게이머: 자신이 보유한 토큰과 연동된 게임을 즐기며 추가 보상 획득
개발자: 앱스토어 수수료 없이 직접 수익 창출 가능
커뮤니티: 토큰의 실사용 가치를 높이고 수요 기반을 확대
또한 AI 게임, 토큰 테마 게임, AAA급 블록체인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단시간에 OGP에 온보딩할 수 있다.
부스트(Boost) 시스템과 게임 내 보상 구조
게임코인 발행 이후에는 부스트 시스템이 가동된다. 플레이어가 게임을 많이 즐길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으며, 획득한 코인을 특정 게임에 스테이킹하면 해당 게임의 보상률과 참여 인센티브가 상승한다. 이 구조는 플레이어·개발자·커뮤니티 간의 상호 이익 순환 모델을 형성하며, OGP 플랫폼은 개별 앱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지갑 환경과 웹 플랫폼에서 구동될 수 있다.
광고 대신 ‘스테이킹 마케팅’…새로운 유저 확보 모델
왈드론은 OGP를 전통 광고 모델을 대체할 유저 확보 솔루션으로 설명했다. 개발자들은 광고비를 지출하는 대신 자신의 게임에 게임코인을 스테이킹해 더 많은 유저 보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마케팅 예산이 자산화되는 구조로, 광고비가 소모가 아닌 투자로 전환되는 셈이다.
솔라나 기반에서 다중체인으로 확장
현재 OGP는 솔라나(Solana) 네트워크 위에서 구동 중이며, 향후 이더리움 가상머신(EVM) 기반 체인으로의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이미 30개 이상의 지갑 및 파트너 프로젝트가 협력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차세대 Web3 게임 생태계
**오픈게임 프로토콜(OGP)**은 기존 게임사가 아닌 토큰 커뮤니티가 중심이 되는 탈중앙형 GameFi 모델로, 웹3 게임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왈드론은 “모든 토큰이 하나의 게임이 될 수 있는 시대가 온다”며 OGP가 플레이, 보상,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을 제시한다고 강조했다.